Yu-tien Huang 교수
- 학위
- 커뮤니케이션박사(한양대학교)
- 연구분야
- 문화간커뮤니케이션, 대중문화
- 이메일
- yutien@hufs.ac.kr
- 홈페이지
세부내용
학력사항
- 한양대학교 문학박사(신문방송학, 2016-2020)
- 한양대학교 문학석사(신문방송학, 2007-2010)
- 대만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문학사(한국어문학, 2003-2007)
경력사항
- 동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빙교수(2023-2025)
-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강사(2021)
- Antec. Inc. (Taiwan) Sales Account Manager(2013-2016)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대만 타이베이 지사 Marketing Specialist(2012)
- SIMULA. (Taiwan) Sales Assistant Manager(2010-2012))
주요 논문 및 저서
- 황우념 외 1명(2024). <데이터와 지표로 살펴보는 대만>, 파주: 이담북스.
- 황우념(2020). <한류와 혐한 속 한국 이미지의 형성, 변곡, 그리고 반향>, 파주: 한국학술정보.
- 황우념 외 1명(2020).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파주: 한국학술정보.
- 황우념 외 1명(2016). <대만 방송 뉴스의 현실과 쟁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황우념 외 1명(2025. 3). 세계 언론 자유 지수(World Press Freedom Index)의 타당성 검토: 1인당 명목 GDP, 언론 신뢰도, 민주주의 지수, 세계 자유 지수와의 관계 분석, <한국방송학보>, 39(2),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4. 5). 대만인의 K푸드(프랜차이즈 K푸드, 인스턴트 K푸드) 재이용의도 결정요인 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8(2), 37-69.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4. 2). 지역중심 관학협력형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8(1), 134-162. (교신저자)
- 황우념 외 2명(2024. 8). ‘짱구는 못말려’ 콘텐츠 이용, 캐릭터 속성, 사회심리적 변인이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편의점 PB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20대의 TV 애니메이션·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콘텐츠 이용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32집, 109-143. (공동저자)
- 황우념 외 1명(2023. 3). 한국 거주 대만인의 SNS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 삶의 만족도, 한국 생활 공유의도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43집, 239-274.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2. 6). 한국 거주 대만인의 생활 만족도와 한국 생활 공유의도 결정요인 연구: 사회자본, 문화 인식,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6, 97-130.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2. 4). 한국과 대만의 코로나19 방역지침 준수의도 결정요인 연구: 코로나19 뉴스 이용, 보호동기이론,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8권 1호, 35-72.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1. 9). 한국 거주 대만인들의 페이스북 그룹 소셜커머스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이용과 충족 이론, 기술수용모델,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2권 3호, 5-35.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1. 5). 동질성, 검증이론 변인이 페이스북 그룹을 통한 소셜커머스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대만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7권 2호, 1-25.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1. 3). 연예인·인플루언서(Influencer)의 플렉스(Flex) 문화가 대학생들의 과시적 소비성향,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21권 1호, 119-152. (교신저자)
- 황우념 외 1명(2020. 9).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미디어 노출이 대안적 해외여행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만(TAIWAN) 여행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4권 5호, 219-250.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20. 2). 20대 대학생들의 지속적 일본 관광불매 의도 결정요인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9호, 315-352. (교신저자)
- 황우념 외 1명(2019. 8). 한국 성소수자 광고의 특성과 허용 필요성에 관한 탐색: 성소수자 광고 불허 및 허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5(3), 77-106. (교신저자)
- 황우념 외 2명(2018. 11). 대학생들의 중화권 영화 관람의도 결정요인 연구: 중화권 영화 관람 경험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4권 4호, 29-58.(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17. 11). 대만인의 인터넷을 통한 한국 드라마 사전 시청이 사후 정규 방송 재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푸른 바다의 전설>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5권 4호, 130-163.(주저자)
- 황우념(2017. 8). <부산행>은 왜 대만 관람객에게 인기인가?: 대만 관람객의 평가와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3권 3호, 123-145. (단독)
- 황우념 외 1명(2017. 8). 대만 미디어 콘텐츠 노출이 한국인의 대만 인식, 대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경제와 문화>, 15권 3호, 135-182. (주저자)
- 황우념 외 1명(2017. 5). 대학생들의 K-MOOC 수강의도 결정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32(2), 161-182. (교신저자)
- 황우념 외 2명(2015. 11). 군대 폭력 뉴스 시청과 사회 심리적 속성이 군 인권보호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찰. <사회과학연구>, 31(4), 53-75. (공동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