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공통) 커리큘럼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이해 (Introduction to Media Communication) (필수)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 기능 , 과정 등에 관한 기초적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전공탐색의 방향을 제시하며 아울러 언론, 방송, 뉴미디어, 광고, PR 등에 관한 기초적 지식의 탐색을 내용으로 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general knowledge of media and communication studies, and will explore the nature of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fields, including those of journalism, broadcasting, new media, advertising, and PR.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탐구와 이론적 지식 활용 (Media Communication Inquiry and the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본 수업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공자를 위한 사회과학적 입문 수업으로, 인간의 경험으로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본질을 탐구하고 분석하며, 이를 이론적 지식과 '연결'하여, 깊이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다양한 미디어 현상과 관련된 이론과 개념을 접하고, 트랜디한 현실적인 문제와 상황을 분석하는데 커뮤니케이션학의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을 1, 2학년 학생들을 위해 개발하고 향상 시킵니다. 또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최신 동향과 주요 이슈를 탐색하며, 미디어 소비 패턴, 이용 동기의 이해, 미디어 현상의 사회, 문화, 정치적 영향 등을 분석합니다. 학생들은 자율적으로 관심 주제를 선정하고, 팀프로젝트 기획을 통하여 미디어 전략, 콘텐츠 제작, 소비자 분석 등을 위한 이론적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합니다. 또한, 팀프로젝트를 통해 기획과 협업 능력을 함께 발전시켜, 미래의 미디어 분야의 대체불가한 전문가적 소양을 배양합니다.
This course aims to explore and analyze media communication phenomena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deep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Students will learn various theories and concepts related to media phenomena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interpret and evaluate them in practical situations and real-world problems. Additionally, the course will explore the latest trends and major issues in the field of media communication,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media consumption patterns and motivations, and examine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impact of media phenomena. Students will have the autonomy to choose their own topics and apply theoretical knowledge in real situations through team project planning, including media strategy, content creation, and consumer trend analysis. Furthermore, the course will foster the development of planning and collaboration skills through team projects.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in Media Communication) (필수)
본 수업은 미디어 이용, 효과, 콘텐츠 등 미디어 관련 제반 현상을 실증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연구방법(설문, 실험, 내용분석 등의 양적 연구방법과 심층면접, 참여관찰 등의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와 이외 과학적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개념과 절차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로 이루어진다.
This course discusses the major scientific research methods used in the inquiry of media and communication phenomena, including survey, experimental, content analysis, and other qualitative methods.
문화간커뮤니케이션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course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theoretically understand and effectively navigate today’s increasingly glob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diverse forms of intercultural relationships we experience within it. We will begin this discussion by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communication. This process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processes across cultures as well as the challenges that may arise due to these cultural differences. We will also address issues relating to the role of power in intercultural interactions;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identity in intercultural interac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popular culture; and media representation of different cultures. Such discussions are expected to help students become more conscious about the impact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identify and reflect upon one’s own cultural identity, and build understanding of and sensitivity to the variety of cultural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that coexist. Ultimately, these discussions are expected to strengthen students’ intercultural competence so that they may creatively and productively engage in relationships and contexts characterized by difference and diversity.
스피치커뮤니케이션 (Speech Communication)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적 이해와 스피치 상황에 따른 토론과 실습을 통해 마음을 담는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자질을 향상하고자 한다. 아나운서 지망생을 위한 전문적 기술을 가르치는 수업이 아니니 참고하세요.
This course highlights concepts and performance skills in speech communication and public spe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