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PR.브랜딩 전공소개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 Branding
광고PR브랜딩전공은 이론과 실무를 바탕으로 창의력과 분석력, 제작기획력을 갖춘 전문가 교육을 목표로 합니다.
광고의 이해, PR의 이해, 브랜드의 이해,광고캠페인실습, PR캠페인실습,브랜드커뮤니케이션캠페인 등과 같은 실무와 이론의 균형을 맞춰 배움으로써 광고인의 역량을 키우게 됩니다.
특히, 광고, PR조사, 캠페인 등 팀프로젝트를 통해 학부생들의 실무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졸업 후, 기업이나 단체의 마케팅, 광고, PR부서 또는 광고회사, 외국계 홍보대행사, 코바코. 언론지능재단, 다양한 정부 조직의 광고, PR , 브랜딩 분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광고.PR.브랜딩전공 커리큘럼
광고의 이해 (Introduction to Advertising) (필수)
광고의 개념과 기능, 광고과정과 광고대행사, 광고제작, 광고관리 및 효과 등에 관한 기초적 이론의 지도를 내용을 바탕으로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갖도록 한다.
Fundamentals of advertising procedures; main elements of advertising campaign; considerations of market and audiences; and trends and techniques in advertising for both print and broadcast media are examined.
PR의 이해 (Introduction to Public Relations) (필수)
PR의 개념, 역사적 전개 및 기능을 살펴보고, PR과 언론과의 관계 및 PR과 여론. PR수단과 기법에 관한 이론적 탐색을 내용으로 한다.
This is designed to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public relations as well as the public relations management.
브랜드의 이해 (Introduction to brand management) (필수)
본 과목은 브랜드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위한 것으로, 관련 이론과 사례들을 다룬다. 현대 기업과 조직, 소비자들에게 브랜드가 주는 의미, 브랜드화의 기준, 강력한 브랜드의 요건, 등에 대한 논의를 다룬다.
This is an introductory class on brand management. Relevant theories and cases are discussed that covers topics such as meaning of brands, creating strong brands, and methods to develop brands.
광고캠페인전략론 (Advertising Campaign Strategies)
현대 소비자들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하루에도 수십개의 광고를 접하고 있다. 이런 광고들은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브랜드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된다. 본 강의에서는 광고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기획과정까지 이론적 고찰과 함께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 또한 소비자로써 광고를 평가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강의 전반부는 광고 캠페인 전략을 수립하기까지의 마케팅 전략 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고, 강의 중후반부는 광고를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요소인 광고모델, 메시지 전략, 매체 전략,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등을 관련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함께 광고심리 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R캠페인기획 (Strategic PR Campaign Planning)
PR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 기획을 실습하는 데 주력한다. 조사, 목표선정, 전략, 메시지 구성, 집행, 효과측정에 이르는 일련의 PR기획과정을 학생들이 실지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course analyzed public relations problems within organizational systems, with examination of key concepts and techniques for a public relations campaign. Student will perform all process of public relations process from research to evaluation.
전략적 브랜드 관리 (Strategic Brand Management)
브랜드 개발 및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에 대해 다룬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포지셔닝, 브랜드 확장 및 재활성화 전략 등에 대해 살펴보고 브랜드 구축 성공 사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Course topics cover brand development and strategic brand management such as brand identity, positioning, extension, revitalization, and the like. Successful cases of brand building will be discussed.
디지털마케팅커뮤니케이션 (Digital Marketing Communication)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기존의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이론 및 노하우는 재정의 되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뉴미디어, 디지털미디어,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 어떤 형태의 새로운 마케팅적 궁리, 노력, 시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과학적, 경영학적 관점에서 이를 분석한다.
데이터기반PR (Data-driven PR)
PR 캠페인을 기획하는 실무자에게 과학적 조사능력은 반드시 갖추어야 할 무기 중 하나이다. 본 수업은 전략적인 PR 프로그램 제작 및 캠페인 수행에 있어 보다 전문적인 단계로 진입하기 위해, PR 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과학적 조사방법 습득 및 활용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즉, 전반적인 문제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한 솔루션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통합적으로 해석하는 실무자의 능력이 중요하다. 이에 각 문제 상황에 적합한 리서치 기법의 선별과 수행, 결과 분석 과정을 연습하여, 분석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전략도출 과정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소셜네트워크광고 (Social Network Advertising)
본 수업은 디지털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는 광고 환경에서 연결성을 기반으로 최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광고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제고하는 과목이다. 본 수업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광고에 대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다양한 사례 리뷰를 통해 성공요인과 전략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광고를 폭넓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소셜 네트워크 광고를 위한 전략 수립 실습을 통해 실무적 적용력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광고사례연구 (Case Studies in Advertising)
본 강의는 광고분야에서의 주요한 개념 및 이론에 대한 이해와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광고 컨셉, 크리에이티브, 제작, 매체 등의 광고 전략을 관찰하고 논의하는 것을 시도하다. 이를 통해 광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획과 전략 수립 등의 실무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course attempts to understand the main concepts and theories in the field of advertising and to observe and discuss advertising strategies such as advertising concepts, creatives, production, and media through case studies based on the latest materials. Through this, we aim to enhance understanding of advertising and strengthen practical skills in planning and strategizing.
PR사례연구 (Case Studies in PR)
본 강의는 다양한 PR 영역에서 실제 실무자들이 어떠한 과정과 방법을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지에 대해 관찰/논의해 보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보다 쉽고 흥미롭게 PR 실무 트렌드를 들여다보고, PR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도모를 목표로 한다. 즉, PR 캠페인을 기획하는 세부적인 과정에 대한 지식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로 PR실무자들이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Solution을 개발하고 실행해 왔는지, 해당 캠페인에 공중들의 반응은 어떠했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PR의 다양한 실무영역에서 행해진 실제 캠페인 Case들을 수집해보고, 도출된 Insight들을 통해 현재 우리사회에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어떻게 적용해 볼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해 볼 예정이다.
브랜드사례연구 (Brand Case Study)
본 강의는 브랜드에 대한 기본 이해에서부터 광고 및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구축하고자 하는 강력한 브랜드의 실체에 대한 학습을 한다. 본 강의를 통해 다음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1. 브랜드 구축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무엇인가? 2.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강력한 브랜드의 요건은 무엇인가? 3. 고객-브랜드 간의 심층적 관계형성과 유지를 위한 통합적 노력은 무엇인가? 4. 강력한 브랜드의 성공 요인은 무엇인가? 5. 시대 변화는 브랜딩에 있어서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브랜드에 대한 기본적인 개론적 지식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함과 동시에, 앞서 제기한 물음에 대한 답이 어떻게 주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 탐구하고, 나아가 브랜드가 가지는 매력과 힘, 즉 브랜드의 작동원리를 이해함으로써 현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와 PR (Digital Media & PR)
오늘날 미디어 환경은 급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이해는 필수가 되었으며, 본 강의에서는 미래 PR커뮤니케이터로서의 다매체 기획 능력과 지식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상에서 수용자 참여형 프로그램을 어떻게 기획하고 실행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The media landscape is rapidly evolving. It is inevitable to understand different forms of digital media. This course will hone your skills and knowledge as a future PR practitioner to be compent in digital media. This class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academic-practical skills necessary to plan and execute the audeince-engaging programs for digital media channels of all types.
소비자광고심리 (Consumer Advertising Psychology)
소비자행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소비자 심리를 읽을 수 있는 통찰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강의에서는 광고를 통해 첫째, 소비심리 및 행동과 관련된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둘째, 소비자의 내적/심리적 요인 뿐 아니라 소비자를 둘러싼 광고, 미디어, 마케팅, 문화와 같은 외적 요인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상호관계성을 다루고자 한다. 셋째, 강의에서 다룬 주요 이론과 핵심 개념이 실제 광고/마케팅 전략 수립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최신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데이터프로세싱 (Processing Customer Data)
본 강의는 소비자와 관련된 수치, 텍스트 등의 정형·비정형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념, 기술, 적용 사례를 교육하고 실무에 활용 가능하도록 분석 실습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소비자의 정보처리 등의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광고, PR, 브랜드에 적용할 전략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Based on 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data such as figures and texts related to customers, this lecture teaches concept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nd conducts analysis. Through this, we try to understand customer behavior such as the customer decisioin-making proces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attempt to consider the strategies to be applied to advertising, PR, and brands.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Digital Marketing Trends)
광고와 마케팅, PR, 브랜딩 등을 포함한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전문 영역을 포괄하는 복잡한 분야임. 특히,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해당 영역의 복잡성을 더욱 증대시켰고, 최근 전염병 대유행과 함께 진행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이러한 변화의 규모와 속도를 크게 증가시켰음. 마케팅 역시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발생하고 있으며, 새로운 마케팅 전략과 전술, 도구, 매체 등이 주목을 받고 있음. 본 강의는 디지털 마케팅의 영역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디지털 마케팅이 집행되는 디지털 매체와 플랫폼의 특징, 전략적 차별점, 성과 측정 등을 논의하고자 함.
Strategic communication, including advertising, marketing, PR, branding, etc., is a complex area that encompasses a variety of specialties. In particular,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further increased the complexity of the area, and digital transformation that has recently progressed with the Pandemic has greatly increased the scale and speed of these changes. Marketing is also experiencing various discussions centered on digitalization, and new marketing strategies, tactics, tools, and media are attracting attention. This lecture is designed to examine various changes covered in the field of digital marketing, an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strategic differences, and performance measurements of digital media and platforms where digital marketing is carried out.
쟁점ㆍ위기 커뮤니케이션 (Issues & Crisis Communication)
본 강의는 쟁점 및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무를 다룬다. 쟁점과 위기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논의를 필두로 하여 공중-미디어-조직의 커뮤니케이션 간에 벌어지는 상호작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특히 PR커뮤니케이션이 조직의 쟁점관리와 위기관리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본 강의를 통해 조직의 쟁점 및 위기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적용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를 리뷰하고 분석해 본다.
광고매체론 (Advertising Media Planning)
This course is designed to introduce you to the world of advertising media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y. We focus on the challenges and procedures involved in advertising media planning, a problem-solving process that involves the creative use of media vehicles to deliver advertising messages to a targeted audience. You will not leave this course an accomplished media planner, but you will have a strong foundation in media planning that will benefit you in future courses, internships, and future jobs.
광고PR브랜드리서치 (Research for AdvertisingPRBrand)
이 수업은 소비자 또는 공중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회사들에게는 소비자/공중을 이해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이 수업은 소비자/공중 행동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구체적으로 이 수업은 소비자/공중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his course is intended for students who want to increase their knowledge of aspects understanding consumer/ public.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understand consumer/public behavior. This course, therefore, highl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public behavior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Consequently,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social science methodology how to analyze and udnerstand consumer/audeince.
광고.PR인턴십(캡스톤디자인) (Internship in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Capstone Design))
본 과목은 크게 2-track으로 운영된다.
첫 번째 track은 커뮤니케이션 영역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수강생이 입사를 희망하는 조직 2~3곳을 선정해 해당사에 관한 조사를 실시해 이에 대한 최종보고를 하며, 실제 지원을 준비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두 번째 track은 커뮤니케이션 문제해결을 위한 캠페인 전략기획서를 작성 및 발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강생의 실질적인 현장진출 준비과정에 기여한다.
본 교과에서 학생들은 아래와 같은 목표를 가진다.
-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정체성 형성
- 커뮤니케이션 현장에 대한 직-간접 경험을 통한 이해도 증진
- 커뮤니케이터로서 경험할 수 있는 가치, 윤리, 태도의 이해
- 궁극적으로, 이 과정들을 통해 “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보는 성찰의 시간을 가진다.
ESG 커뮤니케이션 (ESG Communication)
오늘날 기업활동에서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개념은 날로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이 수업은 기업들의 ESG 커뮤니케이션의 원리와 실무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윤리적 경영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배울 것입니다. 이 수업은 ESG 가치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ESG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배우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this course focuses on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ESG communication. Students will learn how to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promote sustainability and responsible business practices. By the end of the course, students will have a solid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ommunication in promoting ESG values and will be equipped with the skills to develop and implement effective ESG communication strategies.
공공브랜딩 (Public Branding)
브랜드의 중요성이 기업에서 국가, 정책, 도시, 문화 및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 10여년 전부터 우리는 Dynamic Korea, Korea, Sparkling, Be Inspired 등의 국가 및 관광브랜드 활동이 국가브랜드 가치를 주도하는 장소브랜드 관리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이미 230여개의 크고 작은 지방자치단체에도 큰 영향을 미치면서 지방도 이제는 경쟁적 정체성이 지배하는 전략적 브랜드 관리 시스템의 구축으로 차별화된 성장모형을 표방하기 시작했다. 이른바 도시브랜드, 지역브랜드, 전시브랜드, 축제 및 이벤트 브랜드에 의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이 그것이다.
또한 중앙정부의 각 부처는 정책을 브랜드화 하여 시민지향적 정책을 내놓고 있고, 이를 위해 정책 홍보, 정부광고 및 PR에서부터 공공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는 안팎의 요구에 직면해 있다. 더불어, 각 부처의 하위 기구인 각종 공기업은 보다 유연성 있는 예산집행을 토대로 일반 기업 못지않게 세련되면서 지속적인 브랜드마케팅 활동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영역의 브랜드관리에 대한 담론은 실천사례만이 난무할 뿐,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탐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수업은 공공성이란 무엇인지, Why Public? What makes brand public?이라는 주제를 놓고 담론을 전개하는 데 의의를 둔다. 또한 이번 강좌는 Public Branding이 향후 올바른 연구체제로 완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인 접근을 활용하고자 한다.
국가브랜드,국가이미지 (Nation Branding & Nation Image)
최근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좋아지고 있다고 하나,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굳히기에는 여전히 낙후되어 있다. K-POP, 한식, 패션, 드라마, 등 한류가 세계시장에서 전무후무한 전성기를 구가하면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도 덩달아 반등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삼성, LG 등 대기업의 해외 마케팅활동에서도 보듯이 일본제품 정도의 최고품질이라는 확신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발음과 지리적 근접성에 따른 유사효과를 누리고 있는 데 그쳐온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와중에 우리 기업 내부에서 싹트고 있는 상대적 열등감이 우리 제품들의 제조국 이미지를 모호하게 하는 전략을 강행할 수밖에 없는 현실로 몰아가고 있다.
프랑스의 문화 비평가이자 경제학자인 기 소르망은 한국이 겪은 위기는 단순한 경제문제가 아니라 세계에 내세울 만한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 상품이 없다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평가하면서 일본 제품에는 탐미주의, 미국제품에는 아메리칸 드림, 프랑스 제품에는 심미적 문화가 담겨있다고 예시하고 있다. 우리 제품에 정체성과 핵심역량이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 강의에서는 국가 브랜드 이미지제고를 핵심적 마케팅 대상으로 하여 해외시장에서 가장 호의적이며, 강력하고, 독창적인 모습으로 포지션 하고자 하는 커뮤니케이션 노력에 대해 고찰하기로 한다.
본 강의에서는 국가 브랜드의 존재를 재확인하고 브랜드로서의 국가에 대해 마케팅적 타당성과 전략적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며, 국가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의 중요성과 구체적 접근 방법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국가 이미지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다각도의 역할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파악해 본다.
문화와소비자행동 (Culture and Consumer Behavior)
문화와 소비자행동 강좌의 핵심적 내용은 소비자행동에 끼치는 문화의 영향력을 고찰하는 것이다. 문화는 인간행동을 규정 짖는 규범과 양식의 총체적 체계이다. 사람들의 행위는 문화에 의해 결정지어지며 문화적 가치는 사람이 선택하는 재화의 구매패턴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화는 학습되고 공유되며 지속적이고 동태적으로 인간의 행동양식을 지배한다. 소비자로서의 인간은 자기문화의 구성 체계에 따라 구매하고 소비하는 패턴을 반복한다. 소비자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특히 국내외 시장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세계가 하나의 시장이 되어가는 글로벌 경쟁의 시대에 이 같은 문화의 이해는 국제마케팅의 성패를 가르는 주요 요인이 되어왔다. 세계는 지금 코로나사태 이전과 이후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 이러한 재편과정에서 문화와 소비자 행동 그리고 글로벌한 규모의 마케팅 연구 분야 역시 큰 도전에 직면 하고 있다. 코로나 확산에 따른 세계화 담론(세계가 하나의 시장이 되리라는)의 퇴조는 일견 소비자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각기 다른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마르케 더 뮤이 등)에 설득력을 더해주고 있는 듯하다. 개인 간 사회적 거리두기가 국가 간 거리두기로 확산되면서 세계의 장벽은 높아지고 경계는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글로벌한 규모의 기업들에게 코로나 상황 속 그리고 그 이후 어떻게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해 나가야 하는가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현재를 볼 때 과거의 프레임은 훨씬 단순해 보인다. 과거에는 경계가 허물어지는 하나의 시장에 하나의 마케팅 전략으로 대처할 것 인가 아니면 경계를 인정하고 해당지역 소비자들의 문화와 가치를 더욱 존중할 것인가가 하는 문제가 문화와 소비자 행동연구 영역의 주요 대립프레임이었다. 현재는 여기에 더해 코로나라는 미증유의 현상이 전 세계에 공통적으로 끼친 영향과 각국에 차별적으로 끼친 문화적 영향까지를 고려해야 하는 연구 과제를 더해주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과거의 주요 논점인 문화가 소비자 행동에 끼치는 영향과 더불어 최근의 문화변동과 세계시장의 변화에 대비 할 수 있는 글로벌 마케팅 전략수립과 관련한 다양한 이슈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코로나 이후의 세계시장에 적합한 마케팅적 사고와 행동에 필요한 준칙들을 도출하는 것을 강좌의 핵심목표로 한다.